사원의 직장인 행복도 점수는 46점으로, 신입 시절에 비교하면 6점이나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어요. 신입때 직장인 행복도 점수를 가장 높게 찍은 후 확 감소했어요. 그렇다면, 사원의 행복도 점수는 왜 갑자기 떨어진 것인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사원의 행복도는 크게 ‘개인적 행복도, 직장 만족도, 직장 충성도’로 측정하고 있어요. 개인적 행복도는 직장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기에 개인적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선, 직장 만족도가 먼저 높아져야 합니다.
사원의 경우 개인적 행복도가 39점으로 평균(42점)보다 낮아요. 이는 직장 만족도가 40점으로 평균(42)점보다 더 낮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직장 만족도는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직장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의 만족도(직무, 관계, 문화)를 높여주면 되는데요. 그중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직무 만족도 점수부터 알아볼까요?
1년~2년 차인 사원도 신입과 똑같이 직무 만족도 내에서 업무 자신감이 가장 높아요. 다만, 업무 의미감이 높았던 신입 시절과 비교하면 많이 하락했어요. (56점 → 49점) 그 외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 자신감도 같이 2점씩 하락했습니다.
신입 시절엔 자신이 맡은 업무에 대한 기대감으로 하루하루 어떤 일을 해낼지 고민했던 날과 다르게 1년이 지나고 보니 오늘의 업무가 어제와 했던 업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깨닫고 업무에서 의미를 크게 찾지 못하는 것인데요. 이렇게 무기력에 빠져들면, 자율적으로 내가 무엇을 한다기보단 주어진 일을 해낸다는 느낌을 받게 되죠. 자연스럽게 직무 만족도가 떨어진답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일에서 의미를 찾는 것인데요. 내가 하는 일이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자세히 알려줄수록 일에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어요.
*업무 자율성은 경직된 조직 문화일수록 더욱 떨어진답니다. 경직된 조직 문화일수록 무기력한 직원이 많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요.
*상관관계 정도 : 업무 의미감 > 업무 자율성 > 업무 자신감 순으로 직무 만족도에서 업무 의미감이 직장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관계 만족도 중에서 ‘상사 지원’이 직장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요. 사원은 상사지원의 점수가 50점으로 평균 점수와 동일합니다. 상사 지원이 중요한 사실은 직무에 대해 크게 관여하는 사람이 상사이기 때문인데요. 상사는 특히 업무에 대한 의미감을 높여줄 수 있는 사람이에요. 그래서, 상사 지원이 동료 지원보다 직장 만족도에 더 큰 도움이 된답니다.
그리고 여전히 표현의 자유의 점수도 낮은 수치인데요. 여전히 회사 사람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기는 어려운 상태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사원도 충분히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해요. 의견을 더 많이 표현할수록, 직원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이탈률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된다면, 일에서 의미감을 더욱 잘 찾아낼 수 있겠죠? 무기력해져 가는 것을 이 부분으로 해결할 수 있어요!
문화 만족도는 직장 만족도보다는 개인적 행복도에 좀 더 유의미한 영향을 줍니다. 전반적으로 문화에 만족했던 신입과 다르게 모든 점수에서 크게 하락했어요. 특히 복지에 대한 만족도 크게 하락했는데요. (신입 47점→사원 37점) 이는 신입이 느끼는 복지 혜택의 크기와 사원이 느끼는 복지 혜택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해요.
복지에 불만족하는 이유는 복지 제도의 종류가 적은 것과 막상 자신에게 필요한 제도가 없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어떤 복지를 원하고, 어떤 복지는 원하지 않을까요?
직장인들은 유연근무제와 점심 식대 제공, 인센티브를 가장 받고 싶은 복지로 뽑았어요. 여기서 유연근무제는 워라밸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근무시간/형태를 조절하며 일과 삶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죠. 반대로 원하지 않는 복지는 산행, 워크숍을 뽑았는데요. 이는 업무 시간이 줄어들고, 개인적인 시간이 빼앗기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있게 도와주는 복지가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상관관계 정도 : 워라밸 > 복지 > 신뢰 > 스트레스 순으로 워라밸이 문화 만족도 중에서 개인적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 마지막으로 사원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 관리해줘야 하는 요인을 크게 3가지로 정리해봤어요!
1) 일의 의미감을 심어주고, 스스로 일을 찾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실제로 기업 문화가 자유로운 회사의 재직자들은 업무 자율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2) 내 의견을 좀 더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주세요!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업무일수록 더욱 몰입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업무 의미감도 증가할 수 있어요.
3)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도와주는 복지들로 워라밸을 지킬 수 있게 해주세요!
Update at. 2020.01.03.
다른 사원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우리 함께 얘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