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Logoblog_Logoblog_Logoblog_Logo
  • 어바웃 블라인드
  • 슬기로운 회사생활
  • 뉴스룸
  • 앱 다운로드
한국-블라인드-웹-오픈-배너
  • Home
  • Blog
  • 뉴스룸
  • [한경비즈니스] ‘직장인 대나무숲’ 블라인드, 기업 문화 컨설팅 나선다
불 붙은 틱톡 인수전!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을 팔아 말아?
2020년 8월 19일
회사별 자주 듣는 오해 모음.zip
2020년 9월 11일

[한경비즈니스] ‘직장인 대나무숲’ 블라인드, 기업 문화 컨설팅 나선다

Published by Bae Jobs

문성욱 팀블라인드 대표(오른쪽)와 장병준 블라인드 허브 프로젝트 매니저 [한경비즈니스] 서범세 기자

 

“블라인드는 절반의 성공…

직장인이 제대로 목소리 낼 공간 만들었으니

이제 기업에 전달해 올바른 문화 정착시켜야 ”

 

 

많은 기업 경영자들은 직원들의 목소리를 두려워한다. 이 때문에 익명 기반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영자들도 많다. 회사의 민감한 정보가 새나갈 수도 있고 회사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기폭제로 활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블라인드가 만들어진 궁극적인 목적은 고발이 아니다.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조직 문화로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를 경영자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조직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다.

블라인드 애플리케이션(앱)을 운영하는 팀블라인드의 문성욱 대표는 “블라인드는 회사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다주는 플랫폼”이라며 “기업이 직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반영하는 의사 구조를 만드는 것이 블라인드를 만든 목표”라고 말했다.

 


 

◆ 가입자만 450만 명, 기업 수 15만 곳 달해

 
올해로 창업 7년 차를 맞은 팀블라인드는 그동안 고속 성장을 거듭해 왔다. 2013년 창업한 이후 그해 12월 블라인드 앱을 출시했고 이듬해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아예 미국에 본사를 차렸다. 이제는 가입자만 직장인 450만 명, 기업 수는 15만 곳에 이른다. 대표를 포함해 6명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직원이 100명이 넘을 정도로 조직의 규모도 커졌다.
 
이제 온전히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이지만 문 대표는 ‘아직 절반’이라고 말한다. “직장인 유저가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공간을 만들었으니 이제 이들의 목소리를 기업에 전달해 올바른 기업 문화가 정착되는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 대표는 지난 1년여간 준비해 왔다. 바로 ‘블라인드 허브’다. 올해 8월 5일 정식 론칭한 블라인드 허브는 직원들의 목소리에 담긴 의미와 외부에서 기업을 보는 각종 시선을 머신 러닝 기법과 인공지능(AI) 분석으로 얻은 결과를 데이터화해 해당 기업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제공하는 일종의 B2B 서비스다.
 
 

[출처] 블라인드 허브 > Analytics

 


 

문 대표는 “기존의 컨설팅 기업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컨설턴트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고 익명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허브는 정확하다 못해 냉정한 평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블라인드 허브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첫째, 위기 관리다. 경영진이 직원들이 올리는 글에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사안에 대해 블라인드 허브가 경고음을 보내 기업들이 대응과 변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둘째, 평판 관리다. 블라인드 이용자들은 이직 등을 위해 관심 있는 회사의 정보를 얻기 위해 커뮤니티에 많은 질문을 남긴다. 이 과정에서 기존 재직자는 물론 퇴사자들이 해당 기업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장병준 블라인드 허브 프로젝트 매니저(PM)는 “기업들에 블라인드 사용자들은 잠재적인 채용 대상이며 이들이 만들어 내는 콘텐츠를 분석하면 현재 회사의 평판이나 브랜딩 현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셋째, 고용 시장 트렌드 분석이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 어떨 때 특정 회사에서 대량 이직이 발생할지 대략 짐작해 낼 수 있다. 특정 기업 사용자들이 ‘이직’ 키워드를 검색하기 시작하면 인사 시스템의 문제를 파악해 해당 기업 인사팀에 경보음을 보내게 된다.

 

블라인드 허브beta 바로가기
 
 

 

◆ 직장인들의 신뢰성을 최우선 가치로

 
블라인드 허브를 개발·출시하기까지 문 대표와 팀블라인드 임직원들은 많은 고민과 논의를 진행했다.
 
사업적으로 경쟁력이 있지만 자칫하면 블라인드의 근본인 익명성 보장이라는 것이 왜곡될 수 있다는 걱정에서다. 블라인드에 축적된 내용을 분석해 기업에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오해가 생길까 우려해서다.
 
물론 블라인드 시스템 자체는 그리 허술하지 않다. 블라인드의 철학은 ‘절대 잃어버리면 안 될 정도로 중요한 것이라면 애초에 갖고 있으려고도 하지 말자’는 것이다. 팀블라인드는 작성자 데이터를 아예 시스템에 보유하지 않는데, 회원 가입시 적는 회사 이메일은 재직자 확인 목적으로만 활용하고 이후엔 복구 불가능한 데이터로 바뀐다.
 
즉 블라인드는 갖고 있는 작성자 정보가 없기 때문에 기업이든 어디든 정보를 제공하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팀블라인드가 직장인 익명 게시판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많은 국가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나왔지만 대부분 사라졌다. 기술보다 서비스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운영 철학의 차이가 컸기 때문이다.

문 대표는 “블라인드는 기술보다 신뢰가 훨씬 중요한 상품”이라며 “블라인드 허브 역시 직장인들의 신뢰성을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블라인드 허브의 탄생은 비즈니스적인 문제보다 직원들의 목소리를 공식적으로 전함으로써 그 기업이 더 건강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는 플랫폼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차완용, ‘직장인 대나무숲’ 블라인드, 기업 문화 컨설팅 나선다, 한경Business 제 1291호

 

 

 

 

 

Share
8
Bae Jobs
Bae Jobs

Related posts

2020년 10월 22일

블라인드, 유저 전용 폐쇄형 쇼핑몰 오픈 … 모바일 라이브 쇼핑도 진출


Read more
2020년 10월 7일

블라인드 직장인 가입자 400만 돌파 … 글로벌 HR 플랫폼 본격화


Read more

블라인드 문성욱 대표가 10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중앙일보] 장진영 기자

2020년 6월 18일

[중앙일보] 실리콘밸리에 본사 둔 블라인드 “韓 · 美 직딩 고민 다르다”


Read more

최신글

  • 0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성원은 사명을 다하고, 회사는 지속적 기회를 주는 곳
    2021년 1월 5일
  • 0
    비바리퍼블리카: 그리스 300 전사처럼, 그러나 지속가능하게
    2021년 1월 5일
  • 0
    부산교통공사: 다같은 공기업이 아니다, 구성원들의 자율을 존중하는 문화
    2021년 1월 5일

블라인드 보도자료 구독하기

TAGS

BIE blind Blind Hire SK이노베이션 구글코리아 기업문화 네이버 대기업 부산교통공사 블라인드 블라인드 문성욱 블라인드앱 블라인드지수 블라인드 지수 블라인드 직장인 블라인드 하이어 삼성전자 소통 소통채널 신입사원 앱 의사소통 이직 재직자 재직자가행복한기업 조직문화 직장 직장문화 직장생활 직장인 직장인 공감 직장인공감 직장인앱 직장인유머 직장인 유머 직장인행복도 커뮤니티 코로나19 퇴사 표현의자유 현대자동차 현직자 회사 회사생활 회사원
블라인드-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

광고 및 제휴 문의는 ads@teamblind.com, 일반 문의는 support@teamblind.com으로 연락주시면 빠른 시일내 회신드립니다.

최신글

  • 0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성원은 사명을 다하고, 회사는 지속적 기회를 주는 곳
    2021년 1월 5일
  • 0
    비바리퍼블리카: 그리스 300 전사처럼, 그러나 지속가능하게
    2021년 1월 5일
© 2019 Teamblind, inc.|Behind Blind - 블라인드 공식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