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2.16정책(부동산 정책)’을 내놓은 지 한 달이 지나간 시점에서 직장인들은 과연 2020년 부동산 전망을 어떻게 생각할까? 다음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가 한국 직장인 7,592명을 대상으로 ‘2020부동산 전망’에 대해 실시한 설문 결과이다.
[첨부1] 2020 부동산 시장 전망
블라인드는 앱을 사용하는 직장인 7592명을 대상으로 “내년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시나요?”라고 질문했다. 이 가운데 약 절반에 해당하는 직장인이 “부동산 시장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부동산 정책으로 집값을 낮추려는 정부 의도와 다르게 여전히 부동산 전망은 상승세라고 보는 직장인 비율이 47%에 달한 것이다. 반면 ‘하락한다’고 본 직장인은 36%였으며, ‘변동없다’고 본 비율은 17%였다.
[첨부2] 부동산 매매 이유
직장인이 부동산을 매매할 때,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인 1위는 △투자목적(33%)이었다. 1위와 근소한 차이로 △주택가격(30%)이 2위였고, 그 뒤로 △생활편의시설(18%) △교통환경(13%) △자녀교육(5%) 순이다. 그렇다면, 한국 직장인들이 투자목적으로 선호하는 부동산의 지역과 유형은 무엇일까.
왼 [첨부3] 투자목적, 선호 부동산 지역, 오 [첨부4] 투자목적, 선호 부동산 유형
직장인이 투자목적으로 선호하는 부동산 지역을 알아본 결과, 1위는 △수도권(31%)이었다. 다음으로는 △서울강남 24% △서울강북 17% △신도시 14% △기타14% 순이었다. 수도권과 서울권 중 좀 더 세부적으로 선호하는 지역으로는 ‘인프라와 교통, 교육환경이 집중됨, 공급이 항상 모자라는 곳’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기타 답변으로는 부산, 지방 거점 지역 등이 나왔다.
투자목적으로 선호하는 부동산 유형은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에 △아파트(79%)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그 뒤로는 △토지 12% △오피스텔 5% △단독주택 2% △빌라 2% 순이었다. 블라인드 앱 내에서도 ‘아파트의 집값은 꾸준히 우상향되기 때문에, 10년 앞을 보고 투자해야’ 한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인기있었다.
한 직장인이 블라인드에 지난 12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 고민 글을 올리자, 다른 직장인이 투자 관점과 거주 관점에서 해당 아파트의 추천 여부를 상세히 알려주는 댓글들이 달렸다.
[첨부5] 블라인드 앱 내 게시글
[첨부 6]블라인드 앱 내 댓글